경제 나들이

배달비, 왜 내가 다 내야 해? (음식보다 더 비싼 배달비의 충격)

잇돈즈 2025. 4. 26. 10:00
반응형

 

 

“햄버거 하나 시켰는데 총 결제금액이 12,800원?”
“배달비만 5천 원 넘게 나오다니, 이제 배달도 사치야…”

요즘 누구나 한 번쯤은 이런 경험 있으실 겁니다.
음식 가격은 그대로인데 배달비만 계속 오르는 현실.
이제는 1인분 음식을 시키면 음식값보다 배달비가 더 비싼 경우도 드물지 않게 벌어집니다.

문제는, 이 모든 부담이 ‘소비자인 나’에게 집중되고 있다는 것입니다.
배달비는 왜 이렇게 비싸졌고, 앞으로도 계속 오를까요?


배달비, 정말 이렇게까지 올라야 할까?

배달비는 최근 몇 년 사이 급격하게 인상되었습니다.
단순히 체감뿐만 아니라, 통계적으로도 2020년 이후 배달비는 매년 상승 중입니다.

  • 2020년 평균 배달비: 약 2,000원
  • 2022년 평균 배달비: 약 3,000원
  • 2025년 평균 배달비: 약 4,000원
  • 일부 지역은 5,000~6,000원까지 상승

배달비가 올라가는 가장 큰 이유는
배달 대행 시스템이 완전히 바뀌었기 때문입니다.


배달비가 오르는 구조, 어떻게 생겼을까?

  1. 단건 배달 도입
    • 여러 건을 묶어 배달하던 시스템에서
        한 건만 빠르게 배달하는 구조로 바뀌며
        라이더 1명당 처리량 감소 → 비용 상승
  2. 배달앱·대행업체 수수료 이중 구조
    • 음식점은 배달앱 수수료(6~12%)를 부담
    • 라이더에게는 별도 배달 수수료(3,500~6,000원) 발생
    • 사장님도 부담, 소비자도 부담 → 이중 청구 구조
  3. 배달비 분리 표기
    • 과거에는 음식값에 포함되어 숨겨졌던 배달비가
        지금은 명확히 분리되어 표기됨
    • 그 결과, 소비자 체감이 훨씬 더 커짐

실제 주문 예시로 보는 배달비 현실

김치찌개 1인분

  • 음식 가격: 9,500원
  • 배달비: 4,000원
  • 총 결제금액: 13,500원

떡볶이 세트

  • 음식 가격: 8,000원
  • 배달비: 3,500원
  • 총 결제금액: 11,500원

햄버거 세트

  • 음식 가격: 7,800원
  • 배달비: 5,000원
  • 총 결제금액: 12,800원

모든 메뉴에서 배달비가 음식 가격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

배달비, 얼마나 더 지출하게 됐을까?

1회 배달 평균비용

  • 2022년: 2,800원
  • 2025년: 4,200원
  • 증가폭: 약 +50%

월 8회 주문 시

  • 2022년 기준: 22,400원
  • 2025년 기준: 33,600원
  • 증가액: +11,200원

연간 배달비 지출

  • 2022년: 약 26만 8천 원
  • 2025년: 약 40만 3천 원
  • 증가폭: +13만 원 이상

배달만 해도 연간 40만 원이 빠져나가는 구조가 된 셈입니다.


왜 소비자만 부담하는 구조가 됐을까?

  • 음식점 사장님도 수수료 부담이 커져 배달비를 소비자에게 전가
  • 배달 플랫폼은 라이더 수급 유지를 위해 단가를 올림
  • 구조적으로 음식값보다 배달비가 더 빠르게 오를 수밖에 없는 시스템

즉, 아무도 부담하지 않으려다 결국 소비자가 전부 떠안게 된 구조입니다.


배달비를 줄이기 위한 현실적인 전략

  1. 픽업 주문 활용
     → 동일한 메뉴를 최대 3천 원 더 저렴하게 구매 가능
  2. 배달앱 구독 서비스 이용
     → 월 정액 3,900원으로 배달비 무료 횟수 제공 (요기패스 등)
  3. 포장 할인 적극 활용
     → 일부 매장은 포장 시 10~15% 할인 제공
  4. 공동 주문 활용
     → 친구, 가족, 이웃과 함께 주문 시 배달비를 분담 가능
  5. 배달 앱 쿠폰 정기 확인
     → 특정 시간대, 요일마다 할인 쿠폰 제공되는 경우 많음
  6. 한 달 배달 한도 정하기
     → ‘이번 달은 4회까지만 배달’과 같이 제한 설정

결론: 배달은 더 이상 ‘편리함’만으로 선택하기엔 부담이 크다

배달 서비스는 분명 편리합니다.
하지만 이제는 편리함의 대가가 너무 커진 시대입니다.
이제는 단순히 ‘배달하자’가 아니라,
‘이 비용을 감당할 수 있을까?’를 먼저 따져야 할 시점입니다.

‘왜 배달비까지 내가 다 내야 해?’라는 질문,
이제는 충분히 할 수 있고,
그에 대한 답은 내 소비 습관을 조절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됩니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