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제 나들이

카페 알바 시급 10,030원, 실수령은 왜 8천 원대일까?(최저임금 현실과 공제 후 수령액 계산법 완전 정리)

잇돈즈 2025. 6. 19. 10:00
반응형

카페에서 앞치마를 두른 젊은 여성이 급여명세서를 보며 머리를 감싸고 놀란 표정을 짓고 있는 장면, 실수령액에 대한 혼란을 표현한 일러스트

 

1. “최저임금 10,030원인데 왜 이렇게 적게 주나요?”

2025년 최저임금은 시간당 10,030원이다.
하지만 실제 카페 아르바이트생들이 손에 쥐는 돈은 8,000원대 초반인 경우가 많다.
이는 사업주가 잘못 주는 게 아니라, 법적으로 공제되는 금액과 구조 때문이다.

최저임금이란 ‘세전 금액’이며,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‘세후 실수령액’은 다음과 같은 요소에 따라 차이가 발생한다.


2. 2025년 최저임금 기본 구조

항목 내용
시간당 최저임금 10,030원
주 15시간 이상 근무 시 주휴수당 발생
월 환산 기준 약 2,095,700원 (주 40시간 기준)
 

예) 하루 8시간 × 주 5일 = 주 40시간 근무자
→ 주휴수당 포함 시 월 급여 약 209만 원 (세전)


3. 실수령이 줄어드는 이유 ① 4대 보험 공제

아르바이트도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 4대 보험 의무 가입 대상자가 된다.
이 경우 아래와 같은 금액이 급여에서 공제된다.

월급제 기준 공제액 예시 (2025년 기준)

항목 비율 월 공제액 (예시)
국민연금 4.5% 약 94,000원
건강보험 3.495% 약 73,000원
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료의 12.81% 약 9,300원
고용보험 0.9% 약 18,800원
총 공제액 약 9.6% 약 195,000원
 

→ 실수령액: 약 1,900,000원 수준

결론: 시간당 약 10,030원으로 계산된 월급이지만, 실수령은 약 8,900원 수준이 된다.


4. 실수령이 줄어드는 이유 ② 주휴수당 미지급

주휴수당은 주 15시간 이상, 1주일 내 정해진 출근일을 모두 채운 경우에만 발생한다.
하지만 카페 알바의 경우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는 지급되지 않는다.

  • 주 14시간 이하 근무자
  • 무단결근 1회 이상
  • 주휴일이 명확히 정해지지 않은 탄력근무자

이런 경우, 시간당 실제 수령액은 10,030원이 아니라 8,000원대 초반으로 하락하게 된다.


5. 실수령 시급 계산법

예시 1: 주 40시간 근무, 4대 보험 가입자

  • 월 급여: 10,030원 × 209시간 ≒ 2,095,000원
  • 4대 보험 공제: 약 195,000원
  • 실수령: 약 1,900,000원
  • 실 시급: 약 9,090원

예시 2: 주 20시간 근무, 4대 보험 미가입자, 주휴수당 O

  • 주휴수당 포함 시간: 20 + 4시간 = 24시간
  • 시급 환산: 10,030원 × 24시간 ÷ 20시간 = 12,036원 (형식상)
  • 실수령: 시급 10,030원 × 24시간 = 240,720원 (세전)

예시 3: 주 12시간 근무, 주휴수당 X, 4대 보험 미가입

  • 시급: 10,030원
  • 실수령: 10,030원 × 주 12시간 = 주 120,360원
  • 주휴수당 없음 → 실제 시급 = 10,030원
  • 세금 공제 없음 → 실수령 그대로 유지

6. 야간, 주말, 공휴일은 추가 수당 대상

야간근로

  • 기준: 밤 10시~새벽 6시
  • 수당: 통상임금의 50% 가산
  • 시급 기준: 10,030원 × 1.5 = 15,045원

휴일근로

  • 기준: 근로 계약 외 공휴일 근무 시
  • 수당: 통상임금의 50% 가산
  • 예외: 계약 시 ‘유급휴일 미적용’ 포함되었는지 여부 확인 필요

연장근로

  • 기준: 하루 8시간, 주 40시간 초과 시
  • 수당: 통상임금의 50% 가산

→ 따라서 카페에서 야간 마감조, 공휴일 근무자는 실질 시급이 더 높을 수 있음


7. 실수령을 높이려면 이렇게 하자

  1.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주휴수당 챙기기
    • 하루 3시간, 주 5일만 일해도 요건 충족 가능
  2. 4대 보험 제외 조건 활용
    • 1개월 미만 단기 알바, 월 60시간 미만, 주 15시간 미만일 경우 미가입 가능
  3. 야간·주말 근무 적극 활용
    • 마감조나 휴일 근무는 기본시급보다 1.5배 이상
  4. 급여명세서 확인하기
    • 실수령 기준을 확인하고, 부당공제 여부 점검

8. 결론: 시급만 보고 판단하면 손해 본다

2025년 기준 최저시급이 10,030원이라 해도
공제와 조건에 따라 손에 쥐는 금액은 8천 원대까지도 하락할 수 있다.

  • 주휴수당 미지급
  • 4대 보험 공제
  • 근로계약서 상 휴일 규정
  • 야간·연장근무 수당 유무

이 모든 것이 실수령액을 결정하는 요인이다.
따라서 아르바이트를 구할 땐 시급만 보지 말고, 총 근무시간과 조건, 공제 여부까지 꼼꼼히 따져야 한다.

반응형